“섭식장애라는 게 사실은 되게 복합적이죠. 집안 사정이 별로 좋지 않았고 굉장히 심한 학교폭력을 당했던 피해자이기도 하고, 성격도 소심했어요. 제가 만약에 죽어서 역사가가 제 책을 쓴다면 ‘이 사람은 우울증 안 올 수 없었겠네’, ‘섭식장애 안 올 수 없었겠네’ 그럴 것 같아요.”
섭식장애로 5년째 치료 중인 뮤지션 바바라가 '의외의 장소'에서 꺼낸 말이다. 그는 지난달 26일 서울 소재 한 독립서점에서 백은선 시인과 함께 섭식장애를 이야기했다. 20여명의 청중도 있었지만 그들은 편안하게 대화를 이어갔다. 웃음과 농담이 오가기도 했다. 청중들은 숨죽여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때로는 웃고, 때로는 눈시울을 붉혔다.
섭식장애에는 성장 과정, 사회적 배경, 유전적 소인 등 많은 것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에서 섭식장애는 다이어트 강박에 빠진 사람들이 의지력 부족 때문에 음식을 참지 못한 후 폭식, 구토 등을 반복하는 질병으로만 여겨졌다. 이번 행사 주최 측은 새로운 시각으로 섭식장애 환자의 식이 문제를 관찰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은 경험자, 연구자, 치료자 입장에서 섭식장애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섭식장애 인식 주간 행사를 마련했다고 했다.
섭식장애 식사 치료 전문가는 식사 방식으로 심리적인 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간식을 시도하는 법, 점진적인 일반식 노출을 하는 법을 강의했다. 섭식장애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웹 플랫폼을 통해 나레이션과 영상, 회복 멘토/의료진의 지지, 워크북을 제공받고 섭식장애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제대 섭식장애 정신건강연구소장인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김율리 교수는 국내 최초 섭식장애 인식 주간 행사가 개최된 것에 감개무량하다며 “현재 우리나라의 열악한 치료환경에 사회적으로 관심을 두고 개선과 변화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섭식장애를 겪고 있는 한 명 한 명은 약한 존재이지만 많은 사람이 힘을 합치면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며 "이번 행사를 기점으로 섭식장애의 중요성을 느끼는 사람들이 결집하여 좀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청년의사 docdocdoc
'먹는 문제'로 고통받는 이들이 모였다…최초 섭식장애 인식주간 - 청년의사
“섭식장애라는 게 사실은 되게 복합적이죠. 집안 사정이 별로 좋지 않았고 굉장히 심한 학교폭력을 당했던 피해자이기도 하고, 성격도 소심했어요. 제가 만약에 죽어서 역사가가 제 책을 쓴다
www.docdocdoc.co.kr
섭식장애 원인
몸매에 대한 강한 집착이 식이장애의 큰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신체 에너지 및 건강을 위한 과정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억제하고 통제하려는 상황에서 식이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과 유달리 자존감이 낮은 이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며, 생물학적 변화 등으로 인해서 식이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근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와 함께 높은 수행과 성취, 성공 기대와 같은 압력으로 외모관리나 다이어트에 비정상적으로 집착하는 분들이 늘어만 가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애정결핍으로 인해 관심을 받기 위한 행동 중에 하나로 유아, 아동시기의 자녀에게서 거식증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학업 스트레스와 교우관계문제 등으로 인해 섭식장애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들도 늘어나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들은 두뇌 및 시상하부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우선적으로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섭식장애는 재발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꾸준한 상담과 치료가 필요하며 포기하지 않아야 합니다.
식이장애 치료
식이장애 치료를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과 주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식습관의 교정을 목표로 치료가 진행되고 여기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약물치료, 정신과 치료 등을 병행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주변인들의 경우 몸매, 체중 등과 관련된 주제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식사를 마친 후에 함께 운동을 하거나 취미생활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섭식장애는 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다른 어떤 심리적 장애보다도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과정에서 조금만 나아졌다는 생각이 들면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러다 보면 치료의 효과를 의심하게 되기도 하고, 결국 처음부터 다시 치료를 시작하게 되기도 합니다.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maum-sopoong
섭식장애(식이장애)의 원인과 치료방법-거식증, 폭식증 [부천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 마음소풍
누구나 한 번쯤은 다이어트를 시도해 보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다이어트는 평생 숙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운동이나 식이요법 등을 통해 체중 관리를 하게 되지만, 꾸준한
www.maum-sopoong.or.kr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에 이상이 있어 생기는 섭식 장애. 청소년의 경우 어떠한 개입이 필요할지 영상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혈압약 평생 먹어야 하나요? '답정너' 댓글에 경악했다는 닥터조!... (0) | 2023.03.07 |
---|---|
“사람을 살리지만 불법… 난 PA니까” [주간경향] (0) | 2023.03.06 |
정신 건강 위한 헬스장? (0) | 2023.03.05 |
아침 간편식 콘플레이크는 '자위 억제'를 위한 '성욕감퇴 식이요법'으로 ‘금욕주의자’ 존 하비 켈로그가 만들었다고? (0) | 2023.03.04 |
기능의학과 일반의학의 차이점? (0) | 2023.03.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