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말많고 탈많은 우유에 대하여...

건강한 식재료 선택과 식단관리

by 약방노비 2023. 3. 4. 01:46

본문


나는 '저지방 우유'나
'제로 칼로리' 콜라
이딴거 잘 안먹는다.

그냥 우유 마시고,
그냥 콜라 마신다.

저지방이고 제로 칼로리면 그나마
"덜 불량식품이겠지?"
"살 덜찌겠지?"
"당뇨에 도움되겠지?"
"건강에 조금 도움이 되겠지?"
라고 믿는 분들 많으시던데,
그들의 마케팅이 성공한 결과다.

지방은 해롭다는 생각에만 사로잡혀
화학물질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모습은 마치,

바이러스나 세균은 위험하다는 생각에
화학 발암물질인 손세정제를
덕지덕지 사용하는 모습이나,

코로나 바이러스 막겠다고
화학물질 범벅인 마스크를
하루종일 코앞에 들이대고
숨쉬는 (아니 숨 못쉬는) 모습이나,

가습기에 세균이 더럽다고
화학 살균제를 선택하는 모습과
별 반 다를바 없다.

화학적 착시현상에 오지게 빠진거.

🧑‍💻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Facebook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 2020년 우유 연구 (A1 과 A2 카제인 단백질)

기능의학 베스트셀러 '환자혁명'의 저자 조한경 원장의 건강 정보 사이트입니다. 본인 건강에 스스로 책임을 지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로 결정한 분들의 동반자로서, 올바른 기능의학적/영양

drjoshuacho.com



경험상 우유 뇌피셜 한마디 덧붙이면...

저지방 우유는 좁살여드름 주범이라 저지방 아닌 그냥 유기농 일반우유 드시는게 그나마 낫긴 할텐데요, 유당불내증으로 배앓이하는 대다수 한국인 체질에 그보다 더 이로운 우유라면 초지방목 젖소우유 중에서도 A2 카제인 단백질 고지방 우유일텐데요, 아마도 한국 낙농업계에선 생산공급을 안할거에요!

배탈없는 A2 우유 꾸준히 마시긴 하지만 호주에서 수입하다보니 생우유 경우엔 유통기한 압박으로 두번씩이나 복통설사 한적도 있고요, 나만 그런게 아닌지 결국엔 유통기한 1년짜리 멸균우유로 바꿔 수입하더군요.

그럼 또 당연히 신선한 우유 맛이 아닌 텁텁함과 심지어 유기농 특유의 쿰쿰한 농장냄새까지 ... 건강 때문에 마신다지만 결국엔 우리나라 축산농가에서 신선한 유기농 A2 우유 공급해주는게 최선인거 같아요!

외국 마트 진열대에 즐비한 각종 A2우유 유투브로 볼때마다 개부러워 이민가고 싶을만큼 우유 우유 우유 랍니다.




🤖우유 과민증에 대한 놀라운 사실 [ChatGPT Comments]


당신이 물어본 "우유 불내증이 라크토스(유당) 불내증보다 놀라운 이유는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우유 불내증은 식물성 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한 효소가 부족하여 우유와 유제품을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반면, 라크토스(유당) 불내증은 우유와 유제품에 함유된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유 불내증이 놀라운 이유는 라크토스 불내증보다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우유와 유제품을 섭취한 후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라크토스 불내증이라고 가정하지만, 우유 단백질에 대한 알러지나 불내증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유 불내증은 일반적으로 라크토스에 비해 우유 단백질을 소화하는 능력이 더 좋기 때문에 적게 발생합니다. 그러나 우유의 단백질인 카제인이나 와이 등에 대한 알러지나 불내증을 가진 사람도 있습니다.

우유 불내증의 증상은 라크토스 불내증과 유사하며, 복부팽만감, 가스, 복통 및 설사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피부 발진, 두드러기 또는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다른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우유 불내증은 라크토스 불내증보다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놀라울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우유 단백질에 대한 불내증을 가진 것을 모를 수 있습니다. 우유 제품을 섭취한 후 증상이 나타난다면, 적절한 치료를 위해 건강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1과 A2 카제인의 차이점

Casein은 우유에서 발견되는 주요 단백질이며, 소의 유전적 구성에 따라 A1과 A2 casein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A1과 A2 casein의 주요 차이점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순서에 있는 작은 변이입니다.

A1 우유를 생산하는 소의 경우, casein 단백질의 아미노산 순서에는 위치 67에서 히스티딘 잔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beta-casein 단백질로 알려져 있음). 반면 A2 우유를 생산하는 소는 이 위치에서 프롤린 잔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는 A1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 소화 불편 및 염증 증가와 같은 특정 건강 문제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지만,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일부 사람들은 A2 우유가 소화하기 더 쉽다고 느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A1 및 A2 우유 모두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습니다.




📺 https://youtu.be/bL0VQk2Or0s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