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뇌전증 발작시 무조건 심폐소생술(CPR) 오히려 위험할수 있다?

건강뉴스 & 소셜 커뮤니티 이슈

by 약방노비 2023. 3. 8. 12:45

본문


전후사정은 잘 모르겠지만
뇌전증에 심폐소생술?



댓글반응


🧑‍⚕️뇌전증 발작시 응급실에서 처치의 시작은 일단 혀 깨물지 않게 뭔가를 물려주는 건데..  비의료인들이 잘못 그렇게 하다간 기도를 막을 수도 있고 해서 금지..

🧑‍🏭이런 비웃음이 진짜 CPR 필요할 때 손길을 거둬갈 수 있습니다. 일반인이 뭐가 무슨 증상인지 어떻게 아나요. 설령 사람 죽이는 잘못된 처치를 하더라도, 모두가 그럴까봐 절대 안 도와주는 것보단 낫지 않을지? 전국민을 의료인으로 만들 수는 없습니다.

🧑‍⚕️뇌전증환자들은 본인 뇌전증이니까 cpr하지말아달라는 표도 들고다닌대요. 처음에 발작올때 청색증 오는 모습 보면 일반인들은 많이들 오해하는거같아요

🧑‍⚕️항상 걱정하는 부분인데 CPR은 생각보다 침습적이고 위해가 가해질 수 있는 시술이라 쓰러졌다고 무조건 가슴부터 누르고 보는 것은 환자에게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고민하다가 CPR이 정말 필요한 환자를 놓칠 수는 있지만 어차피 일반인이 제대로 CPR를 하기도 어렵고.. 최대한 빨리 119에 신고하고 그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CPR은 맥박이 잡히지 않을 때 (심장이 멈췄을 때) 하는 겁니다. 뇌와 심장은 짧은 시간만 피가 안통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기 때문입니다. 일반인이 맥박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나 일단 호흡이나 몸의 움직임이 있다면 맥박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도 무방합니다.

🧑‍⚕️이게 정말 문제인 게 소아들은 이런 사건이 정말 많이 일어납니다. 전형적으로 열 나서 병원 가다가 -> 열성 경련을 했는데 -> 누군가 CPR 해서 돌아왔다.  실제로 멀쩡히 심장 잘 뛰고 있는 소아 환자의 흉부를 당황한 성인의 힘으로 압박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어서요.. 나아가 하면 안 되는 거 3종 세트로 다 하고 옵니다. CPR + 입에 손 넣기(구토 유발) + 담요로 덮거나 마사지 하면서 체온 올리기 + 가끔 손 따기도...🙄😭 용기를 칭찬받을 일은 맞지만 좀 더 디테일한 교육과 정확한 기사 작성이 아쉽네요.

🧑‍⚕️일반인은 호흡만 확인하게 되어있고 맥박확인 안해요. 그래서 119 전화 해서 전화로 지시받으라고 하는데. 저분은 좀 아쉽네요. 그래도 언론에서 잘했다고 해야 사람들이 더 하겠죠


🧑‍🚒지침이 변경되어 일반인은 맥박확인하지 않습니다. 뇌전증, 기타 심정지 아닌 환자가 잘못된 cpr 을 받았을 때의 손해보다 심실세동 심정지 환자가 cpr 받았을 때의 이득이 더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의료인인데 맥박확인 안했으면 오함마로 머리 까일 일이고요.

일반인 맥박 확인이 지침에서 빠진건 2010년 AHA 가이드라인 부터라서 자그마치 13년전 이야기입니다. 이 사람들이 고스톱 쳐서 결정한게 아니고, ILCOR 라고 (일반인 코스프레 아님) 전세계 심폐소생술 관련학회가 모여서 고민해서 결정한 겁니다. 일반인들이 경련이나 저혈당 같이 심정지가 아닌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하게 될 수 있음을 13년전에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박 확인 없이 흉부압박 하자고 결정한 겁니다. 그 결정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구요.

Pulse Check (맥박 확인)
연구에 따르면 일반 구조자와 의료진 모두 맥박을 감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5-44 의료진도 맥박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38,41
일반 구조자는 맥박을 확인하지 말고 성인이 갑자기 쓰러지거나 호흡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의료진은 맥박을 확인하는 데 10초 이상 걸리지 않아야 하며, 이 시간 내에 맥박을 확실히 느끼지 못하면 구조자는 흉부압박을 시작해야 합니다(Class IIa, LOE C).45,46
https://www.ahajournals.org/doi/10.1161/CIRCULATIONAHA.110.970939


"반응이 없는 성인과 소아(병원 밖 및 병원 내)의 경우, 표준 평가와 달리 심정지 진단 가능성을 높이는 특정 요인(또는 임상적 결정 규칙)이 있나요(발작 후 저혈당, 저혈당증 또는 중독과 같은 비심정지 상태와는 대조적)?"
https://www.resuscitationjournal.com/article/S0300-9572(10)00431-4/fulltext


맥박이나 반응이 있음에도 흉부압박을 해야하는 상황도 있습니다. 그런 상황 하나하나는 훈련된 임상의사가 판단하는 것이고, 공공 정책은 큰 덩어리 총론으로 가야지 각론으로 가면 안됩니다.

-- 정정 일반인 맥박 확인이 빠진건 2005 년 AHA 가이드라인부터라서 18년전 이야기

🧑‍⚕️맥박을 직접 잡지 않더라도 맥박여부를 가늠하고 해야 합니다. 쓰러졌다고 가슴부터 누르면 안되요. 그리고 CPR이 필요한 상황에서 해도 갈비뼈 부러뜨렸다고 민사소송 당하는 세상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facebook.

일시적으로 차단됨

일시적으로 차단됨 회원님의 이 기능 사용 속도가 너무 빠른 것 같습니다. 이 기능 사용에서 일시적으로 차단되었습니다.Facebook 커뮤니티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저희에게 알려주

m.facebook.com




📺https://youtu.be/YDjbYT5ME5g



📺https://youtu.be/mn2vzj0wwbA



http://www.tmifeed.com/2021/05/blog-post_33.html?m=1

야간근무 마치고 퇴근 중인 간호사가 만들어낸 기적 [영상모음]

야간 근무 마친 간호사가 만들어낸 기적

www.tmifeed.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